loading

business

사업소개

수리지질부

수리지질부

지하수, 광해, 토석류 등 수리지질 주요 분야의 조사 및 환경영향을 평가합니다.

지하수의 흐름과 분포, 수위 변동 등을 조사·분석하여 개발·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고
지하수로 인한 지반 안정성 영향 및 수환경 변화에 대한 예측을 수행

지하수 환경영향조사 및 지하수 유동해석

  • 지하수 개발 및 인허가 업무대행
    (지하수법 제7조, 제8조)
  • 지하수 개발·이용시설 시설개선 및 사후관리
    (지하수법 제9조의5)
  • 지하수 관정 원상복구
    (지하수법 제15조)
  • 먹는샘물(최초·변경) 개발 및 인허가 업무대행
    (먹는물관리법 제13조)
지하수 개발 및 먹는샘물 환경영향평가

지하수의 공급 및 지속적인 이용을 위한 체계적인 평가와 관리로 깨끗하고 안전한 수자원 제공

  • 정천현황조사(지하수이용현황 분석, 잠재오염조사 등)
  • 지표수 유량/수질 관측조사
  • 지하수 수리특성 조사

    - 대수성시험(단계양수시험, 장기양수시험, 회복시험)

    - 순간충격시험(Slug Test)

    - 유향유속시험(Colloidal Borescope)

    - 추적자시험(Tracer Test)

지하수 영향조사

지하수의 개발·이용과 합리적인 보전·관리를 위해 지하수 특성(부존량, 산출특성, 수질 등) 및
정천현황 조사 등의 지하수 기초조사 수행

  • 3차원 지하수 수치모델링
    (MODFLOW)
  • 지하수 오염확산 모델링
    (MT3D)
  • 불연속체 지하수 유출해석
    (FRACMAN & MAFIC)
지하수 수치해석

대수층의 복잡한 현상을 재현하여 지하수계 변화를 예측ㆍ평가함으로써 물관리 및
이수시설, 환경오염 및 정화설계, 지반공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

지하안전평가

  • 사면 안정성 분석 및 시뮬레이션
    (SINMAP&FLO-2D)
  • 사전조사 및 현장조사 (산림보호법 제45조, 급경사지 재해예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조)

    - 계곡 형상, 주변 현황, 토석류 및 부유물 발생에 관한 조사 등

  • 대책공법 & 토석류 방호시설 설계 (공용고속도로 토석류 위험평가 및 대책 적용방안 수립 연구,한국도로공사, 2017)

    - 파쇄시설, 사방댐, 차단시설, 퇴적지 등

토석류 시뮬레이션 및 방호시설 설계

자연재해인 토석류 발생 위험 분석을 통해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

광해방지사업

  • 지하공동 위치, 형상 및 규모 파악
  • GPR분석을 활용한 지하 내부구조 파악
  • 표준관입시험 실시 및 암반시료 분석을 통한 공동 파악
  • 장심도 GPR을 사용한 고심도 지층확인
  • 토양오염 개량사업
광해방지사업 및 토양오염 개량사업

광산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광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하공동의 위치, 형상 및 규모 파악을 통해 지반
안정성 평가를 실시하고, 광산지역의 토양에 대한 실태 및 정밀조사를 통해 최적의 복원공법 선정